Ctrl + F 로 원하시는걸 검색하시면 더 편리하게 보실수 있습니다.
장초점 렌즈 (long focal length lens) 초점거리가 표준 렌즈보다 긴 렌즈의 총칭이다. 대부분 장초점 렌즈는 표준 렌즈와 같이 일반적인 렌즈 구성방식으로 만든 초점거리가 긴 렌즈를 말한다. 이와는 달리 초점거리보다 렌즈의 전장이 짧게 설계된 방식을 망원 렌즈(telelens)라고 한다.
적목현상 (red-eye effect) 스트로보 촬영시에 인물의 눈동자가 빨갛게 찍히는 현상이다. 이는 어두운 곳에서 인물을 정면으로 촬영할 때 스트로보의 빛이 동공을 통해 안구 내에 들어가 혈관이 많은 망막상에 반사됨으로써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사체가 똑바로 카메라를 바라보지 않도록 하든지, 스트로보의 각도를 바꾸거나 바운스를 시키면 막을 수가 있다. 또한 주위가 너무 어두우면 동공이 크게 열리므로 촬영장소를 조금 밝게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또한 최근의 카메라에는 동공을 작게 하기 위해 촬영 전에 미리 플래시를 터트리는 적목현상 방지를 위한 장치를 갖춘 것도 있다.
적외 컬러 필름 (infrared color film) 이스트먼 코닥사의 엑타크롬 인프러레드가 유명한데, 촬영시 컬러 필름에 노광된 색광과 필름의 발색이 보색관계가 아닌 전혀 다른 발색이 된다. 주목적은 군사용으로 공중에서도 식별이 가능한 데서 사용되었으나 일반 촬영에도 이용되었다. 노랑 필터를 병용하는 점과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E-4 현상 처리를 이용해야 하므로 최근에는 거의 일반성이 없다.
적외 흑백 필름 (infrared B/W film)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에 감광되도록 만든 필름, 따라서 불필요한 가시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붉은 색 계통의 적외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장 효과적인 적외필터로는 코닥 젤라틴 NO.25A 필터이다. 적외선 필름의 특성은 푸른 나뭇잎을 희게 파란 하늘을 검게 물을 검게 표현한다 적외선 필름은 일반 필름보다 다루기가 까다로와 카메라에 필름을 장착할 때나 뺄 때는 반드시 암실이나 암백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적외선 필름은 노출을 잴 수 없으므로 브라케팅을 한다. 적외선 파장은 가시광선보다 길기 때문에 초점은 적외마크(붉은 색으로 표시)를 이용하거나 카메라에서 확인한 것보다 조금 앞쪽에 맞추고 심도를 깊게 해 주는 편이 좋다. 원거리 풍경도 선명하게 묘사되므로 항공사진, 의학사진, 건축사진, 상업사진 등에 이용. 적외흑백 필름으로 현재 코니카 적외 750, 코닥 하이스피드 인프러레드가 시판되고 있다. 코니카 적외 750은 750nm에 감광대를 가지고 있는 적외 필름, 코닥 하이스피드 인프러레드는 850nm에 감광대를 갖는 필름이다.
적정노출 사진의 노출은 촬영의 기초적인 기법의 하나이다. 인화할 때 가장 적절한 필름의 광량을 주어야만 선명한 색조가 나타난다. 순광인 피사체의 노출측정은 문제가 없으나 역광의 경우에 신경을 써야 하며 기술적 연구가 있어야 한다
전용 스트로보 카메라 제조업체가 자사의 카메라에 동조되도록 만든 스트로보. TTL 측광과 조합시켜 스트로보의 광량을 자동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
전자사진 (electronic still photography) CCD 수광소자를 이용한 스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사진. TV의 브라운관으로 재생해서 볼 수 있는 외에 전송하거나 은염 사진 복제도 가능하다. 본래 업무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일부 아마추어용으로서 이후의 등장이 기대된다. 은염사진만큼 화질이 좋지 않지만 질적 개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전자 셔터(electronic shutter) 셔터 컨트롤을 기계식에 의하지 않고 전자 부품을 써서 제어하는 셔터. 빛을 차광하는 날개(sector)는 종래의 기계식과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정밀성이나 고장이 적은 점, AE와의 연계 용이성 등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전정색성 인화지(panchromatic paper) 컬러 네거티브 필름에서 흑백용의 인화를 얻기 위한 확대용 인화지. 감색성이 전정색성이기 때문에 일반 흑백 인화지와는 달리 붉은 암등에 감응된다. 전정색성 인화지를 사용하면 네거티브 컬러의 톤을 비교적 충실하게 재현시킬 수 있다. 제조 회사에 따라 파나루어 인화지라고도 한다.
정색 필터(orthochr omatic filter) 흑백 필름에서는 필름의 감색성과 육안의 시감도의 차가 있다. 그 차를 보정하여 육안의 명암대비에 가깝게 하도록 한 것을 정색 필터라 한다. 팬크로매틱 필름에서는 황록(YG)필터가 현실에 가까운 명암을 만든다.
젤라틴 아직까지 젤라틴이 사진특성에 영향을 주는 정확한 인자를 파악하지 못함. 젤라틴은 할로겐화은의 응집을 막는 보호교질 역할. 젤라틴은 고래뼈나 돼지뼈, 쇠가죽, 쇠뼈 등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쇠가죽에서 추출한 활성젤라틴을 많이 사용해 오다가 최근에는 쇠뼈에서 추출한 불활성젤라틴을 사용하고 있다.
조리개(diaphragm, aperture) 카메라 렌즈의 구경을 조절하여 필름 면에 도달되는 빛의 밝기와 피사계심도를 조절하는 기구. 사람 눈의 홍채와 형태나 기능이 비슷하다. 조리개는 렌즈로부터 들어오는 광선의 양을 조절하는 동시에 피사계 심도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조리개값(f-number;렌즈의 밝기) 일반적으로 렌즈 경동의 링에 일련의 조리개 수치가 새겨져 그 렌즈의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리개를 조절한다. 최대와 최소의 f 넘버가 단계적인 눈금으로 새겨져 있는데, f넘버를 1단계 작게 하면 두 배의 광량을 얻을 수 있고, 1단계 크게 하면 광량이 1/2로 감소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f 넘버가 커지면 커질수록 렌즈의 조리개는 좁혀져 렌즈에 들어가는 광량은 적어진다.
조리개 우선식 AE(aperture-priority automatic exposure) 자동노광 기구의 하나로 처음에 렌즈측의 조리개값을 정해두면 다음부터는 셔터 속도의 컨트롤로 적정노광이 되게끔 고안된 것이다. 전자셔터의 발달과 더불어 조리개 우선식 AE가 증가추세에 있다.
조립자(rough grain) 사진 감광재료의 입자는 본래 미립자로 마무리 되기를 원한다. 그러나 일부러 거칠게 함으로써 특수효과를 얻고자 할 때도 있다. 이를 조립자사진이라고 하는데, 고감도 필름을 써서 일부러 노광시간을 어긋나게 하고 고온 현상, 장시간 현상,증감 처리 등 규정된 처리를 연장 시킴으로써 이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 사진에서 네가의 입자가 곱고 화상에 입자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원하며, 특별한 작화의도가 있는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입자를 거칠게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 어두운 장소에서 무리한 촬영으로 증감현상을 하였기 때문에 입자가 거칠게 되어 결과적으로 조립자의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다. 이 모든 것이 입자가 거칠게 되면 사진의 결의 부드러움이 없어지고 거칠고 딱딱한 분위기를 지니게 된다. 조립자 화상이 지닌 인상은 냉혹하고 비정한 표현이나 강렬한 리얼리티의 표현에 적당하다고 하겠다. 다큐멘터리의 경우 조립자의 거칠거칠한 화면에서 보다 현실감을 느끼게 함으로 효과적으로 하겠다. 때로는 극단적으로 입자를 거칠게 하여 검은 점으로 구성된 화면으로 하여 유화그림의 효과를 노리는 것도 상업광고사진에서 자주 쓰이는 것이다.
존 시스템(zone system) 피사체의 빛의 반응이 최종인화에서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를 미리 생각 할 수 있게 해주고 실제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를 합리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즉 피사체의 밝기와 노광량, 기기에 인화지에 재현되는 농도와의 관계를 대응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조리개 1스톱씩의 노광차이를 두고 완전 검정색에서부터 완전 흰색까지 10개의 존(zone)으로 나누어 농도조절을 함으로써 특성곡선을 결부시키지 않아도 필름의 상태를 이해하고 피사체의 밝기에 따른 노출결정을 할 수 있게 한 방법이다. 1930년대 후반에 안셀 애덤스에 의해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어 사용되어 왔다.
주름막(bellows) 벨로즈
주밍(zooming) 영화에서 나온 용어로 카메라 위치는 그대로 고정하고 줌렌즈에 의해 롱샷에서 클로즈업까지 또는 그 반대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것을 말한다. 스틸사진에서는 1/30초 정도의 느린 셔터속도로 노광중에 초점거리르 변경하여 화상을 방사상으로 흐려지게 함으로써 동감 또는 집중감을 주는 테크닉을 말한다.
줌 렌즈(zoon lens) 초점거리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초점 렌즈를 가리킨다. 따라서 표준에서 망원으로, 광각에서 표준으로의 화각의 변화가 가능하다. 처음에는 영화용으로 탄생되었으나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발달로 파인더에서 화각의 변화를 확인해가면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현재 이 줌 렌즈에는 광각계 줌, 표준계 줌, 망원계 줌 등의 다채로운 초점 범위를 가진 것이 등장하고 있다.
즉석필름 현상이 인화지 자체에서 이루어지며 1분이면 사진이 완성되는 폴라로이드 카메라용 SX-70,SX-600 필름. 네가티브와 인화지 사이에 알칼리성 현상용 약품이 포함되어 있어 사진으로 완성된다. 폴라로이드 즉석 35mm 투명필름은 소형카메라에서도 가능하며 특수현상기를 사용하여 칼라나 흑백필름을 만드는데 약 3분 정도 소요된다. 전문 사진가들이 노출이나 구도 등 화면 상태를 빨리 점검할 목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증감현상 필름을 현상시간을 연장하거나 증감현상액을 사용함으로써 적합한 농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현상하는 방법. 광량부족 때문에 의도적으로 감도를 높여서 촬영된 경우나 노출부족의 실패를 보정할 경우에 사용된다. 푸시(
착란원 렌즈에 의해 결사오디는 물체의 한 점은 상면에서는 점으로 맺히지만 상면의 전후로 멀어질수록 점이 커져 원으로 보이게 된다. 이것을 착란원이라 하고 그 크기를 원의 지름으로 표시한다. 이 착란원의 크기는 피사계심도, 초점심도, 과초점거리를 구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처리(process) 잠상을 눈에 보이는 가시화상으로 만들기 위한 현상, 정지, 정착, 수세, 건조 등의 일련의 작업을 가리킨다. 현상 처리라는 말도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초음파 모터(USM: ultrasonic motor)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접착시킨 두 개의 링(로터)에 의해 구성된 모터로 플러스의 전압을 걸면 압전 소자가 늘어나고, 마이너스 전 압을 걸면 줄어드는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이 플러스.마이너스의 전압을 걸으므로써 불규칙한 진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기신호를 격하게 바꿔서 수만 헤르츠의 진동으로 하면 접촉하고 있는 링이 진동파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파도타기형이라 할 수 있는 모터이다.
초점거리(focal length) 무한원에 초점을 맞췄을 때의 렌즈의 광학적 중심(제2주점)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mm로 표시한다. 필름 사이즈의 대각선 길이보다 초점거리가 길수록 화각은 좁고 상은 크게 찍힌다. 35mm 카메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표준 렌즈의 초점거리는 50mm이고, 광각 렌즈는 35mm 이하, 망원렌즈는 80mm 이상이다.
촉진제(accelerator) 현상촉진을 위해 현상액에 첨가하는 알칼리서의 보조약품을 말한다. 현상 주약의 현상능력은 산성상태에서는 작용하지 않고 알칼리성 상태에서는 급속히 이루어진다. 이러한 알칼리성 촉진제로는 붕사, 붕산,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이 사용된다.
카메라 아이(camera-eye) 사진의 시각 또는 포토 아이라고도 한다. 렌즈 또는 필름의 표현은 육안과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데 사진에 기록되는 상황을 예측하여 이것을 효과적으로 사진 표현으로 옮기는 감각과 능력을 말한다. 독일의 신흥사진 운동가의 한 사람인 프란츠로가 <사진의 시각 Foto-auge>이라는 사진집을 출판한 것을 계기로 하여 일본인들이 '카메라 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카메라 앵글과 포지션 전근대의 회화를 보면 거의 모두가 인간의 눈 높이에서 본 앵글로 물체를 그리고 있다. 특히 풍경화가 그 경향이 강하며 일종의 자연주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하겠다.
*사진에서는 그 표현은 어디까지나 대상인 피사체를 발견함으로 이룰 수 있다. 자유로운 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각도에서 대상을 포착하여 가장 표현의도에 맞는 영상을 발견하지 않으면 안된다. 작품으로서가 아니더라도 보도나 기록을 목적으로 한 것도, 가장 설득력있는 카메라 앵글을 발견하여 촬영한다는 것은 꼭 필요한 것이다. 조형적인 의미에서도 카메라앵글과 포지션의 선정은 중요한 요소이다. 수평방향에서 본 평범한 대상이라도 마음껏 다른 앵글에서 포착하면 전혀 다른 변화의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새로운 앵글의 발견은 새로운 상(형)의 발견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카메라 포지션 이 말은 피사체에 얼마만큼 접근하는가에 의하여 사진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작가의 흥미의 대상이 어디에 있는가, 불필요한 것을 화면에 넣지않는 카메라 포지션을 선택한다는 것이 이상적인 것이다. 이 문제는 사용하는 렌즈의 사각에 의하여 교환렌즈의 문제를 단념하고서는 생각할 수 없어진다. 그리고 그것은 결과적으로 화면구성이라고 하는 형으로 화면에 나타나는 것을 생각하면 촬영시의 카메라포지션의 선택이란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느끼게 될 것이다. 우리들 인간이 물체를 뚜렷하게 볼 경우 필히 물체를 보는 위치가 있으며 각도가 있고 보는 물체와 인간과의 거리가 있음으로 인해서 인식하고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사진에서의 인식은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 등의 현실이나 사상의 일부를 인간의 눈과 결부시키는 카메라 기구상의 파인더 틀(필름 화면틀과 같음)에 가득하게 작가의 물체보는 것과 생각에 입각하여 의도에 맡게 사진적 효과를 생각하여 프레이밍하여 셔터챤스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멈춘 프레임(틀, 테두리)에 의한 영상으로써 결정짓게 되는 것이다. 즉 인간의 눈으로 물체를 인식한 것 같이 불필요한 것은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프레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프레임을 결정하기 위해서 카메라 포지션, 카메라 앵글, 카메라 디스턴스의 세가지 요소의 선정이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카메라 디스턴스(Camera distance)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거리 즉 촬영거리를 말한다. 카메라를 들고 거리를 걷다가 순간포착을 위하여 셔터를 눌렀다. 급박한 순간에서 재빨리 핀트를 맞추기 위해서 평소에 상황에 따른 카메라 디스턴스를 알고 있어야 한다. 즉 피사체의 가로, 또는 세로의 크기와 효과 등 얼마의 거리에서 촬영해야 하는가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면 렌즈 경동에 있는 거리표시에 대략의 거리를 맞추어 놓고 카메라를 피사체로 향하면 바로 셔터를 누를 수가 있다.
캔디드 포토(candid photography) 피사체인 상대방이 눈치채지 않게 자연스러운 표정이나 움직임 등을 찍는 것을 말한다. 스냅 포토, 훔쳐 찍기라고도 한다.
커플러(coupler) 발색제. 현상주약의 산화물과 반응해서 Y(엘로), M(마젠타), C(시안)의 색소를 생성하는 화합물로 내식과 외식 커플러가 있는데 내식은 필름 유제 중에, 외식은 발색현상액에 함유되어 있다.
컨버전 렌즈(conversion lens) 촬영용 렌즈의 앞 또는 뒤에 접속시켜서 전체적으로 초점거리가 바뀌도록 설계한 것을 말한다. 렌즈 앞에 끼우는 것을 프런트 컨버전 렌즈, 촬영 렌즈와 바디의 중간에 끼우는 것을 리어 컨버전 렌즈(리어 컨버터)라 부른다. 광각, 어안, 망원 등이 있고, f 값은 프런트 컨버젼에서는 변함이 없으나 리어 컨버전에서는 초점거리가 연장되므로 배율의 제곱에 반비례해서 어둡게 된다.
컨템퍼러리 사진(contemporary photography) 오늘날의 또는 현대적인 사진이란 뜻으로 이 말은 종래의 사진개념을 초월해서 영상을 포함시켜 쓰이고 있다. 1966~69년에 걸쳐 미국의 조지 이스트먼 하우스에서 개최된 사진전에서 유래된 말이다.
컬러 미터(color meter:색온도계) 컬러 촬영시 컬러 밸런스를 정하기 위하여 LB 필터나 CC 필터를 선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색온도계를 말한다. 컬러 보정 필터의 종류와 호수를 선정하거나 광원의 색온도를 조종하기 위한 것으로, 입사광식의 수광면 앞에 빨강.녹색,파랑(3원색), 앰버.파랑(2원색)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광원에 수광부를 향해서 다이얼을 회전시켜 움직임으로써 빨강, 녹색, 파랑 또는 앰버, 파랑의 대비량을 측정하거나 또는 색온도 K나 미레드(mired)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컬러 사진 색채에 대하여 예리한 사진가의 사진은 보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그것은 색이 인물이나 물체의 단순한 색채로서가 아니라, 화면의 주역으로서 생생하게 약동하기 때문이다. 칼라사진은 색조의 통일과 그 조화가 강한 인상을 주게 되며, 색채 풍부한 피사체와 침착한 색조의 배경과의 대비가 인상에 남는 영상이 창작된다. 또 화면 전체의 색조는 빛의 질에 의하여 통일시킬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 두자. 색채의 대비(Contrast)가 사진의 효과를 크게 좌우하게 된다. 색채의 강한 대비를 표현하려면 색과 색의 경합을 위하여 배경이 느껴지지 않으며 주제가 중요하게 된다. 그 곳에 주제의 개성까지 표현되며 보는 사람의 눈을 끌게 된다. 스튜디오 촬영이나 연출사진의 경우 대상의 배치는 색채의 배치와 같이 생각하고 색에 대하여 세심한 주의가 있어야 한다. 마음에 들지 않는 색(대상)을 변경시킨다면 그것은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스냅 샷의 사진과 같이 우연의 순간을 포착할 경우 색채는 이의적 조건으로 생각하여 두면 좋을 것이다. 색을 찍기 위하여 귀중한 순간포착을 놓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만일 색에 감동되었을 때도 색에 마음을 빼앗겨서는 안된다. 주제를 살리기 위하여 색채를 살린다는 관계는 절대적 법칙이다. 만약 마음에 드는 색이 눈앞에 나타났을 때 그 색에 내용이 죽지 않도록 주의하는 마음가짐이 요구된다.
컬러 슬라이드 적외선 필름 코닥 Ektachrome professional infrared film(EIR)은AR-5 / E-6 방식으로 현상이 가능하다. AR-5현상은 적외선 묘사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기록이 가능하며 E-6현상은 보다 강한 색재현력과 콘트라스트를 가질 수 있다.1Stop증감현상도 가능하다. 감도로 코닥 라텐 젤라틴 N0.12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한 후 E-6현상하면 감도가 200이 되고, AR-5현상하면 감도는 100이 된다.
필터를 끼지 않으면 자외선에 감광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블루, 블루 마젠타색이 기어 보이므로 코닥 라텐 젤라틴 N0.12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강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코닥 라텐 젤라틴 N0.22 필터를사용-약간 노란색이 끼어 보임
컬러 인화지 컬러 네거티브 필름이나 투명양화(transparency) 필름으로부터 컬러 인화를 하기 위한 인화지. 컬러 인화지에는 빨강 빛, 녹색 빛, 파랑 빛에 감광하는 3층의 유제가 발라져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의 색소화상을 만든다.
컬러 컨버젼 필터(color conversion filter) 컬러 필름의 색온도와 사용하는 광원의 색온도가 크게 차이가 날 때 색밸런스를 일치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필터를 말한다. 예를 들어 텅스텐 필름으로 태양광 아래에서 촬영할 때에 사용되는 85B와, 데이라이트 필름을 텅스텐 조명 아래에서 촬영할 경우의 80A 등이 이에 해당한다
컬러필름(color film) 컬러 촬영에 사용되는 필름의 총칭. 일반 촬영용 컬러 필름은 크게 인화 목적의 네거티브 필름(color negative film)과 슬라이드 제작 및 인쇄원고를 위한 리버설 필름(col.or reversal film)으로 구분된다. 또한 이용 광원에 따라 태양광 아래에서 촬영하여 정상적인 컬러 밸런스를 얻을 수 있게 설계된 데이라이트 타입(daylight type)의 필름과 텅스텐 타입(tungsten type)필름으로 분류된다. 또 발색현상방식에 따라 색소 생성용 커플러를 필름의 각 유제층에 미리 함유한 내식 필름과 이를 현상액 중에 함유시킨 외식 필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컬링(curling) 필름이나 인화지에는 유제면 쪽으로 돌돌 말리는 성질이 있는데 이 말림 현상을 가리킨다. 때문에 필름에서는 베이스 쪽에도 젤라틴을 발라서 컬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컬링이 심하면 필름의 평면성이 악화되므로 촬영시에 최초와 최후의 몇 콤마는 평면성이 악화되므로 촬영시에 최초와 최후의 몇 콤마는 평면성이 불량할 경우가 있다. 현상이 끝난 필름을 건조시키면 컬링이 생기므로 적당한 추가 달린 클립을 써서 수직으로 늘어뜨려 방지하도록 한다. 인화지는 이젤을 이용하여 눌러두어야 한다. 인화지는 건조되었을 때 컬링을 일으키지만, 한참 동안 놓아두면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해서 평면을 유지하기도 한다.
켈 빈도(Kelivin temperature) 색온도
코팅렌즈(coating lens) 렌즈 표면에 매우 엷은 증 투막을 입힌 것. 렌즈에 입사한 빛이 통과할 때, 렌즈와 공기의 경계면에서 굴절률의 차이로 약 5%의 빛이 반사되고 만다. 한 장의 렌즈로 양면이 반사하기 때문에 4군 렌즈로 34%, 5군에서는 40% 가량이나 빛의 손실을 보게 된다. 그리고 투과광의 감소뿐 아니라 플레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 와서는 굴절률이 다른 각종 증착막을 겹치는 멀티코팅을 하여 반사율을 1%까지 줄이고 있다.
콘덴서 사진확대기나 슬라이드 프로젝터에 사용되고 있으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집광시켜 네거티브나 슬라이드의 전면에 균등하게 비춰주기 위해 사용하는 렌즈이다.
콤팩트 카메라(compact camera) 일반적으로는 렌즈 교환이 불가능한 소형 35mm 카메라를 가르키는 것으로, 초보자용으로 스냅을 찍는 데 적합하다. 최근에는 초점거리를 바꿀 수 있는 줌 렌즈와 소형 스트로보가 내장된 콤팩트형이 개발되어 소형 카메라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퀵 리턴 미러(quick return mirror) 일안 반사식에서는 촬영 렌즈와 필름 면 중간의 미러에 의해서 파인더 스크린에 빛을 90도로 반사시켜 화상의 초점과 화면을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촬영시에는 미러가 방해가 되므로 한 점을 측으로 삼아 위로 튀어 올라가게 하여 필름 면으로 가는 광로를 만든다. 이때 미러 업된 상태로는 파인더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셔터가 끊긴 뒤 바로 재빨리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고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촬영시 외에는 언제든지 미러를 통해서 파인더를 볼 수 있도록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이 퀵 리턴 미러가 사용되고 있다.
크로스 스크린 필터(cross screen filter) 스타 필터(star filter)라고도 함.수면의 반짝임이나 생일 케익의 촛불 같은 것을 별빛처럼 반짝이게 하고 싶을 때 사용. 가느다란 선의 격자가 표면에 새겨져 있어 격자의 교차점과 빛이 일치하면 플레어가 일어나고 빛이 방사선으로 퍼져 별빛처럼 보이는 것이다. 6, 8크로스. 필터를 회전시켜 가장 효과적인 화상을 찾으면 된다. 빛은 역광의 저녁노을이나 야간 조명일 때 효과적이다.광원이 일정하면 광원에 가까이 갈수록 효과적. 조리개를 열거나 망원렌즈를 사용하면 빛의 줄기가 부드러워지고 조리개를 죄거나 광각렌즈를 사용하면 빛줄기가 날카롭다. 노출보정은 필요없다. 필터에 바셀린이나 포마드 기름으로 십자를 그리면 크로스와 같은 십자로 된 빛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크로핑(cropping) 화면의 불필요한 부분을 지운다는 의미이다. 미국에서는 '커트하다'라는 뜻으로 쓰이며, 동의어로 '트리밍'이라는 단어를 함께 사용한다.
클로즈업 렌즈(close-up lens) 접사용 보조 렌즈. 표준렌즈나 100mm 정도까지의 망원 렌즈 전면에 끼워서 쓰는 볼록 렌즈로 어태치먼트 렌즈라고도 한다. 이 렌즈는 노광 배수가 거의 바뀌지 않으며 필터 모양으로 얇기 때문에 휴대에 편리한 액세서리이지만, 수차가 증가되므로 조리개를 죄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클로즈업(Close up) 클로즈업 기법은 사진(영화포함)만이 지닌 강력한 무리가 할 수 있다. 그것은 사진의 몇가지 기능-기록성, 리얼리티, 디테일의 묘사능력, 속사성 등-을 집약한 것 같은 것이 클로즈업이기 때문이다. 작은 것을 확대하여 보이는 매크로(Marcro)촬영에는 대상이 어떠한 세부까지도 빠짐없이 선명한 렌즈의 눈이 냉혹하게 묘사한다. 그것은 이미 육안을 넘어선 새로운 시각의 세계가 있으며 그것이 클로즈업의 매력이라 하겠다.오늘날에는 일안레프 카메라로 파인더 시스템의 특징으로 이러한 클로즈업이 누구에게나 용이하게 즐기게 되어 그 수법은 점점 넓게 이용하게 되었다. 학술적인 면에서도 동식물의 생태사진이나 기계류의 접사, 병리연구용에서 범죄 과학수사에 이르기까지 이 분야로 사진이 이룩하는 역할은 매우 크다. 인물사진의 경우도 클로즈업은 특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정의 미묘한 변화, 눈의 표정이나 입가의 변화 등의 약간의 뉘앙스(Nuance)도 접근한 카메라는 포착하게 된다. 형식적인 서로 보는 사진이란 먼곳의 것을 전혀 다른 인간적인 매력을 끌 수 있다. 작은 물체의 이미지를 크게 하려고 할 때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네가티브를 확대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크게 확대시킬 경우에 이미지의 특징이 상실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런 방법은 그리 만족할 만한 것이 못된다. 네가티브 위에 커다란 이미지를 맺게 하는 클로즈업기법을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것이다. 클로즈업 되는 물체는 표준보다 카메라에 더욱 가깝게 초점이 맞춰진다. 촬영에 있어서 보조기구인 접사링보다는 매크로(Marcro)렌즈가 정확하게 질감묘사를 할 수 있다. 이 렌즈는 표준보다 더 큰 이미지를 필름 위에 초점맞출 수 있도록 해준다. 촬영하는 동안에는 렌즈와 피사체 사이의 약간의 변화도 초점을 변화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삼각대가 필수적이다. 크게 확대된 이미지에서는 카메라의 움직임이 거의 없어야 한다. 클로즈업은 매크로 렌즈가 유용한 기구가 된다. 50mm 매크로 렌즈는 9인치 정도의 가까운 거리에서도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실물크기의 1.5배까지 확대할 수 있다. 이미지의 크기는 렌즈와 카메라 몸체 사이에 접사링을 끼워 넣음으로써 더 크게 조정된다. 일반렌즈보다도 더 선명한 클로즈업을 제공하며, 매크로렌즈는 일반적인 모든 사진촬영에도 매우 좋다. 그것은 50mm에서 200mm에 이르는 다양하게 고정된 초점거리에서 사용된다.
클립 온 타입 스트로보(clip-on type electronic flast) 카메라의 액세서리 슈에 세트할 수 있는 소형 스트로보, 최근에는 핫슈 타입이라 부르며 카메라측과 스트로보측에 코드없이 직결해서 사용하게끔 되어 있다.
타임(T) 노츨 다이얼 카메라의 셔터 기구의 하나로, 장시간 노출을 주고자 할 때 다이얼을 맞추고 셔터 버튼을 누르면 셔터가 열린 상태가 되고 다시 한번 버튼을 누르든가 셔터 속도 다이얼을 돌리면 셔터가 닫히는 기구. 셔터 속도 다이얼상에서는 T로 표시되어 있다.
텅스텐 램프 일반적인 전구로서 가정용과 사진용으로 구분한다. 일반 가정용 텅스텐 전구의 색온도는 2800K이지만, 사진용 전구는 색온도 3200K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텅스텐 라이트는 일광이나 스트로보의 빛에 비해 색온도가 낮고 붉은 기가 돈다.
텅스텐 필름(tungsten type film) 약칭 T 타입이라고도 한다. 색온도가3200K~3400K인 텅스텐 라이트(사진용 전구)로 촬영했을 경우에 적정한 컬러 밸런스가 되도록 만든 필름. 태양광이나 색온도가 높은 조명에서 찍으면 푸른색이 강한 사진이 된다.
텔레컨버터(teleconveter) 촬영 렌즈와 카메라 사이 또는 렌즈 앞에 부착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길게(대개 두 배)하는 기구이다. 텔레플러스, 텔레모어, 리어 컨버터 등이 이에 속한다.
Tri-X 고감도의 전정색성 치고는 비교적 작은 입상성과 좋은 선예도를 가진 필름. ISO 400 이기 때문에 비교적 어두운 피사체나 움직이는 피사체, 고속셔터, 피사계 심도를 요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트랜스페어런시(transparency) 반사광이 아닌 투과광으로 관찰하기 위한 투명양화 필름으로서 리버설 필름을 말한다. 그리고 금속이나 플라스틱, 대지 등에 넣은 트랜스 페어런시를 슬라이드(slide)라 부른다.
트리밍(trimming) 촬영이 끝난 후에 화면 구성을 하는 것으로, 필름상의 불필요한 부분을 확대시 정리하거나,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이노하지 밖으로 나가게 확대기 헤드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화면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한다는 의미로 크로핑(cropping)이라고도 한다. 트리밍이나 크로핑은 의식의 문제로 보나, 원판의 손실로 보나 적게 하는 것이 좋다.
특성곡선 감광유제의 노출량과 농도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으로 감광재료의 감도, 콘트라스트, 최고농도, 관용도 등의 특성을 알 수 있다. 1890년 허터와 드리필드가 감도측정의 기초로 고안한 것이라 하여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H-D 곡선이라고도 부른다. 특성곡선은 현상조건과 방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현상과정을 규격화 함으로써 콘트라스트의 정도나 유효노광 범위, 관용도 등을 알 수 있다.
T-MAX 1986년에 처음으로 T입자 공법이 채택된 필름으로 입상성과 선예도가 크게 개선되었다.감도를 ISO(절대감도)로 표시하지 않고 EI 노광지수인 실효감도(상대감도)로 표시하고 있다.+2증감현상이 가능하다. T-MAX 400은 Tri-X 400 보다 고운 입자와 선예도가 우수하다.
T입자(T-grain) 할로겐화은 입자를 납작한 평판모양으로 만들고 이 평판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광양자의 흡수효율은 높이기 위해 평판형 할로겐화은 입자표면을 많은 요철이 생기도록 울통불통하게 만들어 감도를 크게 향상시키면서 입상성과 선예도를 크게 개선하였다. 흑백 T-Max 100, 400필름이 T입자로 형성되어 있다.
TTL(through the lens) '렌즈를 통하여'라는 뜻으로 카메라에서는 촬영용 렌즈를 통하여 촬영되는 이미지와 같은 상을 관찰할 수 있는 파인더를 말하거나 렌즈를 통해 들어와 실제 촬영되는 이미지로부터 노출을 재는 경우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등장으로 별도로 파인더를 두어 상을 관찰하게 됨으로써 이런 용어가 쓰이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측광방식에 주로 이용되는 용어이다.
TTL 측광(TTL metering) 카메라에 설치된 노출계 중 촬영용 렌즈를 통하여 들어와 실제 촬영되는 장면의 밝기로부터 노출을 재는 반사식 측광방식을 말한다.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등장으로 과거에 카메라 보디의 윗부분이나 렌즈 주변에 수광소자를 두어 측광하던 외부 측광식에 비해 신뢰도가 높아진 측광방식이다.
파노라마 카메라 넓은 장면을 한 눈에 볼수 있도록 촬영한 초광각사진. 수평각 100~360º까지 찍힌다. 렌즈를 회전하면서 촬영하는 렌즈회전식과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촬영하는 카메라 회전식, 대형카메라 이상의 이미지 서클을 가진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찍을 수 있는 이미지 서클식이 있다.
파인더(view finder) 카메라로 피사체를 겨냥했을 때, 어디에서 어디까지 필름에 상을 맺게 하느냐의 범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촬여시의 조리개 수치, 셔터속도 등의 상태가 표시되는 정보 파인더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아이레벨 파인더, 웨스트 레벨 파인더, 회전식 파인더, 직각 파인더 등이 있다.
파인더 배율(finder magnification) 파인더에 의해 보이는 피사체의 크기와 직접 육안으로 보는 피사체의 크기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같은 크기로 보이면 파인더 배율은 등배이나 보통 투시식 파인더는 이보다 적으며 1 이하가 된다. 배율을 높게 하여 크게 볼 수 있는 쪽이 초점 맞추기는 쉬우나 등배보다 약간 낮은쪽이 사용하기 좋기 때문에 0.6~0.9배 정도의 것이 가장 좋다
파트로네(patrone) 35mm 롤 필름의 보관용기. 금속 또는 플라스틱 원통 모양으로 필름이 출입하는 틈새에 차광용 천이 붙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들어노는 빛을 차단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컬러. 흑백 롤 필름은 파트로네에 넣어져 있으며 원칙적으로 재사용은 불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DX 코드가 채택되고 있다. 다른 용어로 매거진, 카트리지로도 표기한다.
팝 아트 (pop art) 포퓰러 아트의 약어다. 20세기 중반에 일어난 현대미술의 경향으로써 런던을 중심으로 젊은 작가들이 대중사회의 문화와 예술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려는 운동이었다. 옵티컬 아트의 심리적 반회화주의에 대하여 물리적 반회화주의라고 말할 수 있다. 앤디 워홀이 대표작가이다.
패닝(panning) '흘려찍기'라고도 한다. 움직이는 피사체를 찍을 경우,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피사체와 같은 속도로 카메라의 앵글이 따라가며 셔터를 끊으면 배경은 흐려지고 피사체만 정지되어 보이므로 유동감이 강조된다. 고속 셔터로 찍으면 효과가 없으므로 1/30정도에서 찍으면 배경이 흐르게 된다. 카메라 파인더 내에 피사체를 포착했을 때 그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카메라를 움직이는 것이 요령이지만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미러에 의해서 블랙 아웃되는 관계로 따로 투시 파인더를 카메라에 장치해두면 좋다.
팬 포커스(Pan-focus) 육안으로 물체를 볼 경우 사진화상에서 보여주는 흐림의 현상은 없다. 눈에 가까운 것에서 먼 곳까지 모두 선명한 모습의 상으로 눈에 비친다. 따라서 육안의 인상에 가까운 사진을 창작하려면 흐림이 없는 사진, 즉 카메라에 가까운 부분에서 가장 만 곳까지 전체적으로 선명한 핀트를 맞추는데 신경을 써야한다. 이것이 팬포커스이다. 이와같은 것은 피사계심도가 깊은 소형 35mm카메라의 단초점렌즈에 의하면 용이하게 팬포커스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팬포커스에 의하면 렌즈의 시야내에 있는 것은 모든 곳에 핀트가 맞게 됨으로 충실도와 설명에 중점이 있게하는 다큐멘타리 포토나 보도사진에는 자주 이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일반적인 수냅숏에서도 인물의 경우 나란히 늘어선 위치에서 촬영하는 것 보다도 어느정도 깊숙한 곳에 배치되는 카메라 포지션이 자연스러우며 주제와 부제의 관계도 명확하게 된다.
페로타입(ferrotype) 수세가 끝난 젖은 인화지를 금속제 회전 드럼에 크롬 도금을 한 전기 건조기에 말림으로써 사진에 윤이 나게 하는 광택건조법을 일컫는다. 주로 화이버 베이스 인화지에 사용한다.
퍼포레이션(perforation) 영화용 필름의 양 가장자리 또는 한쪽에 뚫어진 연속된 작은 구멍. 35mm 필름에도 양측에 구멍이 나 있는데, 이 구멍과 카메라의 스프로킷 톱니 바퀴가 맞물려 필름을 한 콤마씩 이동시킨다.
페니돈(PHENIDONE) 1940년 켄달에 의해 현상약품으로 발견된 무색의 결정분말이다. 완성현상주약으로 저알칼리액에서 섀도우 톤의 세부표현이 좋으며 유제감도가 좋은 특징이 있고 하이드로퀴논과 혼합하여 PQ 현상약품제조에 사용된다. 메톨에 비해 유독성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하이드로퀴논과 혼합하면 현상능력이 활성화되면서 지속력을 가지게 된다.
펜타프리즘(pentaprism) 마름모꼴의 5각형 프리즘. 미러에서 90도로 반사된 빛이 프리즘 내에서 세 번 반사하기 때문에 상하 좌우가 교정되어 정립정상으로 볼 수 있게끔 되어 있다. 펜타고날 루프 프리즘(pentagonal roof prism)이 정식명칭이다.
펜튤럼 사진 가는 실에 메단 점광원의 흔들림 운동을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잡은 디자인적인 패턴사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네거티브를 이용하지만 인화지나 시트필름에 직접 노광을 시키는 방법도 있다. 특히 컬러의 경우 렌즈 앞에 색 필터를 끼우면 보다 효과적인 사진을 얻을 수 있다.
편광필터(polarizing filter)/PL필터 빛의 표면 반사를 제거하는 필터. 물이나 유리와 같은 비금속 물질의 표면에 반사하는 빛을 차단시켜 주거나 하늘의 청색, 구름의 백색, 나뭇잎의 초록색 등의 색을 선명하게 해 주므로 풍경사진에 많이 사용된다. 역광에서는 효과가 없고 사광이나 순광일 때가 효과적. 칼라의 경우 편광필터는 대기 중에 산란된 빛을 편광필터를 조정하여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투과시켜 빛 반사를 줄이고 하늘을 짙게, 먼 거리의 장면이 선명한 색깔로 나타나게 해 주는 색채 강조용 필터. 쇼 윈도우의 빛 반사를 제거할 때는 35도 정도가 효과적이다. 노출보정+2 . 흑백, 칼라 공용 필터.
평균측광(averaged overall light reading) 촬영하는 화면의 평균적 밝기를 재는 TTL 측광법. 수광소자는 주로 파인더 접안부에 있으며 초점 글라스 전체를 통해 들어온 밝기를 측광한다. 화면 내에 강력한 빛이 들어와 극단적인 명암차가 생기면 정확하지 않을 위험성이 있다.
포괄각도(covering angle) 렌즈가 선명하게 상을 맺는 범위. 즉 포괄각도는 그 렌즈의 광학적 중심과 이미지 서클의 직경이 이루는 각도이다. 렌즈가 조리개를 죌수록 이 범위는 넓어진다.
포그(fog) 사진에 나타난 얼룩이나 원치 않는 흑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빛에 의한 광학적 포그와 물리적 작용이나 약품 등에 의한 화학적 포그가 있다. 넓은 의미로는 이레이디에이션이나 헐레이션 및 플레어나 고스트 이미지 등의 현상도 포그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포그 필터(fog filter) 풍경사진에서 안개가 낀 것 같은 환상적인 분위기 연출하거나 얼굴의 주름살이나 피부 결점을 감추고 부드럽게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 조리개를 열고 찍으면 효과가 증대, 역광일 때 더 효과적. 필터 앞에 바셀린를 바르거나 얇은 아세트지 등으로 그 효과를 낼 수도 있다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 연속계조를 생략하고 몇 단계로 톤을 세퍼레이트해서 흑백이나 컬러 인화지에 색광으로 인화하는 것이다. 릴리프, 라인 톤 등 솔라리제이션 효과도 일종의 포스터와 같은 색채효과하고 할 수 있다.
포지티브 필름(positive film) 양화 상태의 필름을 말한다. 포지는 포지티브 필름의 약어로 슬라이드 필름을 의미하기도 한다. 현상 후에 바로 양화의 필름이 되므로 프로젝터를 통한 감상용이나 인쇄 원고로 많이 사용되나 관용도가 네거티브 필름보다 좁은 것이 단점이다.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 포컬 플레인 셔터에서는 두 장의 막이 좌우로, 또는 4~8장의 금속 막이 상하로 이동하여 그 슬릿(틈새)에 의해 필름에 노광이 된다. 이 막 중 먼저 스타트하는 것을 선막, 셔터를 닫는 쪽의 막을 후막이라 부른다.
포토그램(photogram)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필름이나 인화지 위에 직접 평면체나 입방체의 대상물을 놓고 광선을 비추어 그 투형상에 의해 구성하여 표현된 것이며 특수기법 중에서도 이색적인 존재를 말한다. 단순한 표현사진으로 여긴다면 간단하게 생각되고 있으나, 그 기법은 다종다양하고 매우 정교한 면이 있으며 실제 시도하여 보면 깊이있는 기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재는 광범위하고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므로 그런만큼 최초의 발상이 매우 중요함으로 어떻게 이미지를 전개시킬 것인가가 작품의 승부가 좌우된다. 그리고 실제 제작과정도 빛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느낌으로 예리한 조형감각이 요구된다. 작품으로서 완성된 것으로 만들기 위하여 시각에 의한 심리효과를 충분히 계산된 위에 표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만레이와 모홀리 나기는 훌륭한 포토그램 작품을 많이 남겼다.
폴라로이드 카메라 정식명칭은 폴라로이드 랜드 카메라(polaroid land camera). 미국의 E.H. 랜드 박사가 발명하여 1947년 발표한 카메라로 촬영 후 1분이면 사진이 나오는 카메라라 하여 '1분 카메라'라고도 한다. 전에는 롤 필름 형식도 있었으나 지금은 팩 형식도 잇으며 촬영하고 필름을 뺄 때마다 부착된 특수한 현상약품 주머니가 롤러에 의해 눌려져서 필름이 현상되어 네거티브상이 만들어지고 그 포지사으이 성분이 용제에 의해 용해되어 접착하고 있는 인화지에 전사되는 확산전사방법을 택하고 있다.
표백(bleaching) 컬러 감광재료를 발색 현상하면 은화상과 색소화상이 함께 나타나지만 은화상은 컬러 사진에서 불필요하기 때문에 용해 제거된다. 이 때 표백은 다음의 정착 과정에서 은화상을 제거하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 은을 할로겐화은으로 바꾸어 놓는 치환역할을 하게 된다
표준 렌즈(standard lens, normal lens) 촬영되는 화면의 대각선과 거의 같은 길이을 초점거리로 하는 렌즈를 가르킨다. 따라서 이것은 화면 사이즈에 따라 변하게 된다. 즉 35mm 카메라에서는 50mm 전후(화각 45도 전후), 식스판에서는 75~80mm (52~54도), 하프판에서는 28mm(56도)로 되어 있다. 최근 콤팩트 카메라에는 35mm(63도),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는 35~70mm 줌(34~63도) 렌즈가 달린 것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표준렌즈의 영역도 점차 넓어지고 있다.
표준반사판(standard gray card) 반사율 18%의 회색 대지. 반사식 노출계를 사용하여 기준이 되는 노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사체의 명암이 극단적인 경우에는 이 표주반사판을 피사체와 같은 위치에 두고 측광하여 평균 광량을 산출한다.
푸시(push) 증감현상
퓰리처상 (pulizer prize) 미국의 대신문업자 퓰리처의 유언으로 1918년 창설된 상. 매년 5월에 저널리즘을 비롯하여 14개 부문에 주어지는데 상금은 한 부문에 500~1000 달러 정도이다. 수상자는 미국인을 원칙으로 하지만 예외도 있다.
프레이밍(framing) 카메라의 화면 구성. 즉 촬영시에 화면을 정리하여 트리밍을 하지 않더라도 필름 면 가득히 확대해서 작화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파인더에서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그램 AE(programmed automatic exposure) 현장의 밝기에 따라서 셔터 속도나 조리개값이 사전에 정해둔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프로그램식이라 하고, 이 프로그램과 AE 기구를 일체화시킨 것을 말한다. EV값에 의해서 그 조합은 변화되지만,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 몇 가지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멀티프로그램 방식도 있다. 즉 조리개를 중시하고 피사계심도를 깊게 하느냐, 피사체의 움직임을 고려해서 셔터 속도를 가급적 빠르게 설정하느냐 하는 변화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라스틱 렌즈(plastic lens) 광학수지로 불리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렌즈로 프리즘, 콘덴서, 초점 글라스에 이용된다. 이는 성형가공이 쉽고 광학 글라스에 비해 싸고 경량이다. 때문에 비구면으로 가공한 TV용 촬령 렌즈나 카메라 렌즈에 많이 대체되고 있다.
플래시매틱(flashmatic) 발광하는 광원의 가이드 넘버에 의해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변화하면 조리개도 연동되어 변하는데, 이 자동 시스템은 언제든지 적정 발광량을 유지하도록 컨트롤되어 있다. 스트로보 내장 카메라의 대부분은 이 플래시매틱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플랫(flat) 명암차가 적고 화면 전체가 평평하고 단조로운 상태인 것. 물론 피사체 그 자체를 지칭할 때도 있고 검은 새도가 회색에 가깝고 하이라이트의 희어야 할 부분도 깨끗하지 못하고 회색에 가까운 상태를 가리킨다. 콘트라스트의 대응어이다.
플러드 램프(flood lamp) 스폿 램프에 반대되는 말이다. 리플렉터 램프의 하나로서 60도 이상의 조사각으로 부드럽게 산광된 빛을 비춰주는 사진용 전구이다. 플러드가 범람한다는 말은 빛이 잘 확산된다는 의미이다.
플레어(flare) 렌즈로 입사되는 빛이 렌즈 면이나 렌즈 경동 내 혹은 카메라 보디 내에서 반사되어 선명도를 해치는 것을 말한다. 코팅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렌즈 내나 표면의 먼지, 상처 등으로도 일어나며 카메라나 경동부에서의 번쩍이는 금속 등에서도 생긴다. 고스트 이미지는 이 플레어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 렌즈에서 피사체의 한 점에 초점을 맞추면 그 전후도 어느 범위까지는 샤프하게 결상된다. 이 범위가 곧 피사계심도이다. 이 피사계심도은 (1)렌즈를 죌수록 (2)피사체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3)화면에 대해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샤프하게 찍히는 범위가 넓다. 또 접사와 같은 조건을 제외하고 한 점에 초점을 맞췄을 때 카메라에 가까운 쪽이 먼 쪽보다 피사계심도가 얕게 된다. 각 렌즈에 따라 이 피사계심도는 달라지나 렌즈 경동부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에 의해서 그 범위를 확인 할 수 있다.
PC 렌즈(perspective control lens) 사각 교정용의 렌즈. 35mm 일안 반사식 카메라 렌즈는 대형 카메라와 같이 보디측에서 컨트롤할 수 없으므로, 렌즈의 경동 전반부에 상하 좌우 시프트 기능을 장치하여 상을 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는 렌즈이다. 제조회사에 따라 TS 또는 시프트 렌즈라고도 한다.
POP지 print out paper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초기의 계란지에 이어 등장한 인화지. 젤라틴액 중에 염화은을 종이에 도포하여 말린 것으로 전에는 사진가가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시판되어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핀트/포거스(focus) 사진이 전래되었을 당시 네덜란드어 'brand punt'에서 유래되었다. 즉 초점이 맞았다든가 초점을 맞춘다고 할 때에 사용된다.
핀홀 카메라(pinhole camera) 바늘구멍 카메라. 렌즈를 쓰지 않고 아주 작은 구멍으로 입사되는 빛이 필름 면에서 결상되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광학원리를 이용한 카메라이다. 렌즈를 쓰지 않으므로 왜곡이 생기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f 값이 극히 어둡고 장시간 노광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필름(film) 일반적인 사진용 필름은 지지체(base)에 할로겐화은(AgBr과 소량의 AgI)의 미세한 결정을 젤라틴용액에 혼합하여 얇고 균일하게 도포한 것이다. 이 할로겐화은의 입자는 빛의 작용에 의해 광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잠상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노광된 부분은 현상에 의해 검정색 금속은으로 환원되어 네거티브 화상을 형성한다. 이것을 정착처리에 의해 미노광 및 미현상된 할로겐화은을 용해시키면 고정된 네거티브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필름은 유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젤라틴 보호막을 최상부에 바르고 다음으로 감광유제층, 유제를 베이스에 부착시키는 하인층, 그리고 베이스의 내면에는 헐레이션 방지층이라는 구조가 일반적이다.필름의 탄생은 셀룰로오스판에 젤라틴 유제를 바른 형태로 1888년 미국에서 발명된 후 1989년 이스트먼 코닥이 35mm 롤 필름을 생산하여 전세계로 퍼져 나갔다.이 후 굿윈이 종이 뒷면이 없이 유연하고 튼튼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현대의 롤 필름와 같은 것을 발명하였다.
필름감도 필름이 빛에 감응하는 정도를 말한다. 일정한 규격에 입각하여 수치화되어 있으므로 그 값을 카메라에 세팅하여 노출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감도표시로 ASA(미국 규격협회)와 DIN(독일 공업규격)이 있었는데, 현재는 국제적으로 공통된 감도표시규격으로 ISO(국제표준화기구)가 보급되어 있다. ASA 100(DIN21)은 ISO 100/21도, 또는 간단히 ISO 100이라 표시되고 있다.
필름 베이스 감광유제를 바르는 얇고 투명한 필름지지체로 셀룰로오스층을 가리킨다.초기에는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사용하였으나 불에 타기 쉽고 폭발의 위험성도 있어 최근에는 35mm 필름에서는 3초산 셀룰로오스를, 시트필름에서는 폴리에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필름의 베이스는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무색이며 균질하여야 하고, 화학적으로는 안정되고 유제도포가 용이해야 한다. 또한 유연하고 온도나 습도에 의한 신축이 없어야 된다.
필름 팩 정보 필름 팩의 겉면에 나타나 있는 정보로 필름의 종류, 사이즈, 컷 수, 감도, 유효기간 등을 알 수 있다.
필터(filter) 빛과 색에 대한 반응으로 사진유제에 변화를 주는 것이 필터이다. 흑백이든 컬러든 색의 재현에 변화를 줌으로써 선예하고 정확한 사진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필터는 빛을 거른다는 뜻으로 어떤 종류의 파장의 빛은 투과 시키명 어떤 파장의 빛은 훕수해버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어느 파장광을 흡수하며 어느 파장광을 투과하느냐는 필터가 가진 색채에 의해 결정된다. 즉 필터 자체의 색은 투과시키고 그 밖의 색광은 흡수해 필름에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필터 사용시 사진에 미치는 영향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필터는 (1)필름의 감광성과 감색성에 영향을 미친다. (2)흑백 네거티브의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친다. (3)노출에 영향을 미친다.
필터계수 필터의 노출배수.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불필요한 파장의 광을 흡수하므로 투과광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흡수광량만큼 노광량을 늘려 주어야 한다. 노출계수가 1인 필터는 노광량을 늘릴 필요가 없는 것으로 UV, SL필터등이 있으며 색 필터나 농도가 있는 필터는 사용설명서의 필터계수를 참고하면 된다. TTL노출계가 장착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는 필터계수에 신경쓰지 않아도 카메라 내에서 노출을 자동으로 보정해 준다.
하이키(high-key) 키는 열쇠라는 뜻도 있지만 소리나 색채, 밝기 등의 상태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다. 사진에서 하이키를 해석해보면 하이라이트 부분이 많고 하프톤에 걸쳐 대부분 밝은 상태의 피사체를 찍은 밝은 사진을 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채광, 노출, 현상, 인화의 모든 과정이 적정 처리된 상태에서 어두운 부분보다 밝은 부분이 월등히 많은 사진일 경우를 의미한다. 인화노광의 부족이나 현상과다에 의해 밝게 된 사진은 하이키 사진이라고 하지 않는다.하이키 사진은 로우키와는 대조적인 아름다움이 있다. 로우키의 중후에 대하여 하이키는 경쾌한 인상에 있다. 흰색의 스페이스 속에 약간의 흑색 존재는 귀중한 것이며, 이것을 만드는 선이나 포르므가 경쾌한 화상을 만드는 것이다. 밝음과 청결함의 표현은 여성사진이나 정물사진 등이 확실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상업광고사진에도 많이 사용하는 수법이다. 주의할 점은 하이키는 하이콘트라스트와는 본질적으로 틀리며 결코 굳은 톤의 사진이 아니라는 점이다. 미묘한 톤이 하이키 사진의 생명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화조를 얻기 위하여 피사체는 빛이 좋은 곳에 조명콘트라스트의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대하여 충분한 노출을 줌으로써 하이키의 네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이콘트라스트 흑백의 대비가 강한 중간조가 없는 것을 말한다. 하이콘트라스트의 사진은 인상이 매우 강렬하기 때문에 중간톤의 생략에 의하여 흑 또는 백의 포르므(Forme)가 강하게 눈에 들어옴으로써 그 화면구성은 확실치 않으면 호소력이 없는 사진이 되고 말게 될 것이다
하이 앵글(High angle) 높은 각도에서 아래로 내려 찍는 방법이다. 수평 촬영보다도 효과적인 사진을 만들 수 있으며 위에서 아래로 의한 것은 객관성이 강하고 설명적인 사진이 된다는 경향이 있다. 로우 앵글의 표현과는 대조적이며 광각렌즈 사용으로 앵글이 강조된다. 하이 앵글은 아래로 보는 시각임으로 설명적이며 해설적인 표현이 되므로 인간의 감정으로서 우월감이 묘출된다. 광범위한 풍경사진에 적합하며 깊은 감정을 강조시킬 수 있다. 눈 높이의 앵글은 인간의 감정으로서 친근감, 한패의식, 동정적인 느낌이 표현된다. 그러나 눈높이의 각도라 하여도 대상에 의하여 그 각도의 선정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아래로 카메라를 향하게 되면 로우 앵글과는 정반대의 인상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중요한 피사체의 특징과 크기를 강조시키는 것이 아니라 호면 속에 단순한 하나의 구성물로 하는 것이다. 하이 앵글로 찍으면 배경의 방해물이 찍히지 않으므로 확실한 화면구성을 이룰 수 있다. 로우 행글이 지상을 걷는 벌레의 눈이라고 한다면, 하이 앵글은 자유로이 하늘을 날으는 새의 눈이다. 사람은 무한의 가능성에 도전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사진의 세계에 있어서도 벌레나 새가 되고 싶어진다고 생각한다. 그 호기심이 낯익은 광경에도 새로운 시각이 있다는 것을 발견시키게 될 것이다. 높은 각도 즉 카메라를 높은 위치에 두고 아래로 내려다 보면서 촬영하는 카메라의 각도를 말한다. 이 방법은 수평촬영과는 다른 효과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위에서 내려다봄으로써 객관성이 강하고 설명적인 사진이 되는 경향이 있다. 촬영방법이나 카메라의 거리와의 관련으로 역의 효과를 나타낼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항공사진의 경우에도 수직의 촬영에서는 전혀 상식외의 형을 발견하게 되며 대상을 패턴화될 경우도 있다. 카메라앵글이 대상의 형을 변화시키는 한 예이기도 하다.
하프 미러(half mirror) 반투명한 거울로서 거리계 연동식 카메라의 이중창 반사 거울로 사용된다. 최근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대부분이 이 하프 미러를 이용한 TTL측광식을 채택하고 있다.
한국사진작가협회 1961년 한국사진협회로 창립되어 1977년 한국사진작가협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한국사진문화 발전과 향상을 위해 공헌하고 있으며 국내 사진작가들의 권익옹호와 지위향샹을 목적으로 활동중인 단체. 정기간행물 월간<한국사진>을 발행하고 있다.
할로겐 램프(halogen lamp) 가스를 넣은 전구에 미량의 할로겐 우너소를 봉입한 것으로, 브롬 램프, 요오드 램프가 있다. 백열전구보다 수명이 길며 소형, 경량으로 색온도가 일정한 점 등 이점도 많으나 고열인 것이 문제이다.
할로겐화은 감광재료의 감광성분으로 은과 할로겐의 화합물로서 그 종류는 브롬화은(AgBr), 염화은(AgCl), 요오드화은(AgI)등이 사용된다. 이미 노출된 할로겐화은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잠상을 형성하며, 이것을 현상하면 금속은이 되어 가시화상을 만든다
할레이션(Halation) 필름에 너무 강한 빛이 통과하면 유제층을 통과하고 필름 지지체에서 다시 반사해 광원화상 주변에 얼룩이 생기는 현상. 필름의 해상도나 선예도를 나쁘게 하는 요인이며 화면 전체에 걸쳐 플레어가 생기게 되므로 광원이 직접 렌즈에 닿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헐레이션 방지를 위해 35mm필름은 일반적으로 지지체 뒷면에 회색으로 착색한다. 이 층은 현상과정에서 제거된다. 헐레이션 방지층은 산란된 할로겐화은 입자를 흡수하여 선예도가 좋은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도와준다.
핫 슈(hot shoe, cordless contact shoe) 카메라의 액세서리 슈 안의 스트로보용 직결접점이 장착된 것. 최근에는 전용 스트로보에 의해 동조될 뿐 아니라, 카메라측의 정보가 보내져서 스트로보의 광량을 자동으로 조절한다든지, 스트로보측의 충전 등을 카메라측에 알려서 셔터가 조리개를 제어하는 등, 고도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는 것이 나오고 있다.
항온기 현상 또는 인화 처리시 약품의 온도를 정확히 유지시켜 주기 위한 암실용 기구의 하나로 바이메탈 자동 스위치 등을 사용한 히터이다
해상력(resolving power) 상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카메라나 확대 렌즈의 결상 능력이나 필름, 인화지 등의 감광재료의 묘사 정도를 표시하는 수치의 하나이다. 렌즈나 필름의 개별요소에 대한 각 해상력을 구하는 방법이 있는데, 폭이 같은 흑백의 띠나 문자 등의 테스트 차트를 촬영해서 그 한계값을 구하며 단위는 선/mm 이다.
허용 착란원(permissible circle of confusion) 허용흐림, 허용분원이라고도 한다. 착란원의 지름이 작으면 점으로 인식되지만 지름이 커지면 점이 원으로 되어 초점이 흐려지게 된다. 점으로 인식되는 착란원의 최대 허용한계를 허용착란원이라 한다. 허용착란원의 지름은 화면의 대각선이 10인치가 되는 6 X 8인치 사진을 10인치(약 25.4cm) 거리에서 볼 때 1/100인치로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헬리오그래피 (heliography)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그리이스어의 태양을 의미하는 헬리오와 그린다는 의미의 그라포스의 합성어. 다게레오 타입이 발명되기 이전에 1862년경 니옙스는 카메라 옵스큐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었는데 이것을 헬리오그래피라 한다. 광선에 노출되면 굳어지는 물질인 비투멘(bitumen)을 사용하였다.
현상(development) 필름이나 인화지에 형성된 잠상을 흑화은화상으로 환원시키는 처리를 현상이라 한다. 그 잠상은 현상액의 현상주약과 반응하여 금속의 흑화은으로 변하는데 감광재료의 종류, 현상액의 종류, 현상조건 등에 따라 달라진다.
현상약(developer) 감광재료의 현상액으로 사용되는 약품의 총칭. 그 작용에 의해 현상주약, 보항제, 촉진제, 억제제, 기타 첨가제로 나눈다. 현상 용도에 따라 흑백의 경우 미립자 현상액, 초미립자 현상액, 증감성 현상액으로 구분하며 컬러의 경우 발색현상액, 반전현상액 등으로 구분한다.
형광등용 필터(fluorescent filter) 일반 형광등은 그 특유의 휘선 스펙트럼 때문에 녹색으로 많이 발색된다. 이 녹색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서 도시바의 FL 필터 또는 FL-W필터가 있다.
형광사진 블랙 라이트 사진 또는 자외선 효과 사진이라고 하는 특수촬영기법이다. 피사체를 형광물감이나 형광색지를 이용하여 만들고 자외선 형광등을 이용하여 조명을 하면 형광물질이 있는 부분만 화려하고 밝게 묘사되는 초현실적인 사진을 얻을 수 있다.
화면 사이즈(picture size, picture format) 카메라로 촬영하였을 때 감광재료상에 찍힌 화면의 크기를 화면 사이즈라 한다. 카메라의 크기, 필름의 종류에 의해서 정해지지만 현재는 몇몇 종류로 통일되어 있다.
화질(image quality) 렌즈를 통해서 결상된 화상의 좋고 나쁨을 판정할 때에 해상력뿐만 아니라 헤일로나 플레어, 색수차, 코마 수차 등 잔존하는 수차에 의해 화면의 질을 말할 때 사용한다.
황금분할(golden section) 화면의 짧은 변과 긴 변과의 비가 1:1.618인 긴 네모꼴이 가장 조화가 잘된다는 황금비를 가리킨다. 회화, 사진 등에 사용되고 있다. 즉 4변형의 선의 분할에 있어서 큰 부분 a와 작은부분 b의 비가 전체 a + b와 큰 부분 a와의 비와 같을 때, 즉 a:b=(a+b):a일 때 가장 미적 효과가 있어 보인다고 자이징(Zeising)이 내세운 법칙이다
황록색 필터 (yellow-green filter) po필터 보통 필름을 육안에 가깝게 촬영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로 정색필터라고 한다. 푸른 하늘에 전경이 있는 풍경, 설경, 구름, 역광 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다. 녹색을 약간 희게 적색을 약간 짙게 만들어 준다. 실외 인물촬영에도 적합하다.
황색 필터층 컬러필름에서 부정색소발색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치로 강한 청색광이 청감 유제층에 흡수되고 난 후 다른 유제층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
회절현상(diffraction) 조리개는 여러 개의 날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빛이 조리개를 통과할 때도 빛은 조금씩 분산된다. 특히 조리개를 조였을 때는 이런 현상이 심해진다. 일반적으로 조리개를 조이면 피사계 심도가 깊어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고 하지먼 오히려 빛이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분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현상은 사진의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런 현상은 렌즈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빛이 조리개의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것인 만큼 렌즈의 수차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후드 (hood) 렌즈에 입사되는 광선 중에서 화각 밖의 여분의 빛을 차단하고 플레어를 방지하기 위한 액서서리이다.
후막 포컬 플레인 셔터에서 먼저 열리는 막을 선막이라 하고 닫아주는 역할을 하는 막을 후막이라고 한다.
흑백사진 사진이 발명되고부터 100년동안은 흑백만의 사진으로 이루어왔다. 1937년 칼라사진이 발명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칼라의 시대가 온 것이다. 그러나 세계적인 사진가들 중에는 흑백사진만을 고집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흑백사진의 예술적 가치는 생생한 하일라이트와 풍부한 그림자의 뉘앙스가 구비된 조건에 있다. 흑백사진은 흑백의 조화로 표현한 것이며, 인공광선.자연광선들 렌즈의 조리개, 셔터속도 등 대상에 비추는 빛의 양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사진적인 아름다움의 계조와 적당한 톤으로 한없는 변화를 주며 이것이 흑백사진의 유력한 특성이다. 화상의 농담의 계조가 미묘하며 풍부한 색조가 아름답고 힘이 있으며, 그 주제의 선택과 화면의 구성 등이 구비된다면 보다 훌륭한 것이 된다. 이런 의미에서 촬영에 있어서 주안점의 기본적인 것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려면 빛과 그림자의 명암이 중요하다. 이러한 촬영에서 인화처리까지 전기술을 충분히 습득하는 것이 선결문제이다. 흑백의 암부 속에는 섬세하고 정교한 계조를 갖춘 로우키조는 중후하고 검소하며 고전적인 때로는 음울한 느낌을 표현한다. 밝은 부분은 명쾌함과 청결함 때로는 고상하고 우아한 표현이 된다. 흑백사진의 콘트라스트는 활력적이고 의욕적인 표현이 되며, 때로는 중량감의 표현에 적합하다. 그리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표현할 수도 있다. 빛의 화가라고 불리우는 렘브란트의 작품에는 빛과 그림자의 분배가 잘 통제되어, 극적인 빛의 효과를 회화로 표현하고 있다. 흑백은 피사체의 자연적인 형태와 명암의 계조에 의해 창작되는 것이다. 흑백으로서의 정확한 묘사와 기록성에 의지하는 태도는 정신적으로 생명감, 인간성, 대지의 애착을 주는 것에 있다. 흑백사진이 창조하는 본질적인 의의는 심오한 깊이와 심원함에 있으며 볼수록 매력을 느끼게 하는 위대성이 있는 것이다.
흔들림(blur) 초점을 정확하게 맞춰서 촬영했음에도 불구하고, 화면 전체의 초점이 약하다든가 화면에 흔들린 흔적이 나타나 있는 경우를 말한다. 흔들림의 원인은 세 가지로 요약되는데, 첫째는 피사체가 움직여버리는 것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피사체에 대해 적절한 셔터 속도를 유지하지 못한 경우, 둘째는 촬영자 자신이 셔터를 누를 때 카메라를 흔들어버렸을 경우, 셋째로는 카메라 자체의 기구의 흔들림을 들 수 있다.
휘도(luminance) 피사체 표면의 밝기를 말하며 객관적인 측정은 발광면에서 일정방향으로 발광하는 빛의 단위면적당 광도를 표면적으로 나눈 밝기의 양으로 계산한다.
출처:momosky.com
|
IP Address : 218.148.109.239
|